자격증

2025 ITT 자격증 시험 일정과 장소

꿈만 꾸는 소년 2025. 4. 11.

 

ITT 자격증은 국제 통번역 자격증(International Translation & Interpretation Certificate)의 약자로, 외국어 통번역 능력을 인증하는 민간 자격입니다. 영어뿐만 아니라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다양한 언어로 제공되며, 실무형 통번역 역량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비즈니스 실무, 무역, 관광, 의료, 법률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ITT 자격증은 통번역 대학원 진학, 국제회의 통역, 기업 해외지사 취업 등에 이점을 제공하며, 공공기관 및 외국계 기업에서도 실무 능력을 증명할 수 있는 자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5 ITT 자격증 시험 일정과 장소

2025 ITT 자격증 시험 일정

  • 1회차: 2025년 1월 18일(토)
  • 2회차: 2025년 3월 15일(토)
  • 3회차: 2025년 5월 17일(토)
  • 4회차: 2025년 7월 19일(토)
  • 5회차: 2025년 9월 20일(토)
  • 6회차: 2025년 11월 15일(토)
  • 원서접수는 시험일 기준 약 한 달 전부터 시작되며, 한국외국어대학교 ITT 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접수 가능합니다.

ITT 자격증 시험 과목 및 시험 구성

비즈니스 통역번역(1급~3급)

  1. 번역시험: 실무형 비즈니스 번역 지문 번역 (한→외/외→한)
  2. 통역시험: 청취 후 한→외 또는 외→한 통역

시험 시간: 번역 90분, 통역 30분 내외

기타 과정 (예: 의료통역, 관광통역, 법률통역 등)

  • 전문 분야별 시험 구성(각 1급~3급)
  • 해당 분야 전문 지문 기반 실전 통번역 평가

시험 커트라인 및 합격 기준

  • 3급: 번역·통역 각각 평균 60점 이상
  • 2급: 번역·통역 각각 평균 70점 이상
  • 1급: 번역·통역 각각 평균 80점 이상

각 영역(번역, 통역) 모두 합격 점수를 넘어야 해당 등급 자격이 부여됩니다.

 

ITT 자격증 응시 자격

ITT 자격증은 학력, 나이, 경력 제한 없이 누구나 응시 가능하며, 외국어 실력을 갖춘 일반인, 대학생, 직장인, 프리랜서 등 다양한 계층이 수험생으로 참여합니다. 단, 1급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선 일정 수준 이상의 언어능력과 통번역 훈련이 필수입니다.

2025 시험 장소 안내

ITT 시험은 서울을 포함한 전국 주요 도시에서 시행되며, 고사장은 한국외대, 부산외대, 지방 사설 학원 및 센터 등이 포함됩니다.

  •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건국대학교
  • 부산: 부산외국어대학교
  • 대구, 대전, 광주 등 지역 센터
  • 온라인 시험 병행 운영 (일부 회차)

Q&A

Q1. ITT 자격증은 국가자격인가요?

A. 아닙니다. 민간자격이지만, 실무 중심의 전문성을 인정받아 여러 기업 및 기관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Q2. 영어 외에 어떤 언어가 있나요?

A.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다국어가 있으며, 회차마다 시행 언어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Q3. 통역이 부담스러우면 번역만 볼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번역 단독 시험으로도 자격 취득이 가능하며, 단 번역 자격만 발급됩니다.

Q4. ITT 자격증으로 취업이 가능한가요?

A. 외국계 기업, 공공기관, 무역회사, 번역회사, 여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무 역량 인증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Q5. 유효기간이 있나요?

A. ITT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습니다. 단, 고급 등급일수록 최신 트렌드와의 갱신 학습이 권장됩니다.

요약

ITT 자격증은 국제 실무 통번역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민간 자격증으로, 비즈니스, 의료, 관광 등 실생활과 산업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2025년 시험은 연 6회로 진행되며, 전국 주요 도시 및 온라인으로도 응시가 가능합니다. 번역과 통역 시험으로 구성되며, 각 등급에 따라 합격 기준이 달라집니다. 1급은 전문 통번역가를 목표로 하는 수험생에게 적합하며, 2급은 실무 중심의 중급 수준, 3급은 입문자 또는 기본 자격이 필요한 이들에게 적합합니다. 응시 자격은 개방되어 있어 누구나 도전 가능하며, 실제 취업 현장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실전형 자격입니다.

댓글